Notice: Function _load_textdomain_just_in_time was called incorrectly. Translation loading for the rank-math domain was triggered too early. This is usually an indicator for some code in the plugin or theme running too early. Translations should be loaded at the init action or later. Please see Debugging in WordPress for more information. (This message was added in version 6.7.0.) in /www/signdaysubscribe_663/public/wp-includes/functions.php on line 6121
육아휴직급여 사후지급금 복직 6개월 후 신청가능 - 주부맘 육아와 요리

육아휴직급여 사후지급금 복직 6개월 후 신청가능

육아휴직급여 사후지급금 금액

숨겨진 자산 육아휴직급여 사후지급금 찾아가세요!

육아휴직급여 사후지급금 임금의 25% 찾아가셨나요? 만약 200만원의 월급을 받고 있었다면 육아휴직급여 상한액인 150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150만원 중 75%는 육아휴직기간에 지급받고 나머지 25%는 사후지급금 개념으로 복직 후 6개월이 지났을 때 일시불로 수령받습니다. 그 금액이 450만원 정도 됩니다.

이 돈을 누군가가 대신 챙겨줄까요? 내가 신청하지 않으면 받지 못하는 숨은 자산입니다. 육아휴직을 하고 복직을 한 분이라면 누구나 고용보험에서 지급되는 육아휴직급여의 일부인 ‘사후지급금’을 받을 자격이 있습니다. 이 포스팅을 통해 조건과 신청방법을 체크하셔서 잠재된 나의 자산을 찾아가시기 바랍니다 🙂

육아휴직급여 사후지급금의 수령 조건

사후지급금을 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우선, 동일한 회사로 복직을 하고 6개월 이상 근로를 해야 합니다. 이때 직위가 변경되거나 근로시간이 변경된 경우에는 사후지급금을 신청할 수 없습니다.

또한, 육아휴직 후 자발적으로 퇴사를 할 경우에도 사후지급금을 신청할 수 없습니다. 이는 ‘퇴사 = 사후지급금 포기’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비자발적인 사유로 퇴사를 하게 될 경우에는 복직 후 6개월 이상 근로하지 못했더라도 사후지급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비자발적인 사유에는 사업장의 폐업, 도산, 권고사직 등이 있습니다.

육아휴직급여 사후지급금 신청 방법

육아휴직급여 사후지급금 신청 방법은 어렵지 않습니다. 신청 기간은 회사 복직 후 6개월이 지난 시점입니다. 고용보험 홈페이지나 앱을 통해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1. 관할 고용센터 홈페이지에서 육아휴직급여 사후지급금 확인서를 다운로드 합니다. 사후지급금 확인서(=신청서)의 경우 지역에 따라서는 필수 서류가 아닐 수 있습니다. 서류 준비 전 지역 고용센터에 문의해 보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2. 재직 증명서, 복직 후 6개월 간 급여 내역서
  3. 사후지급금 확인서(필요시)와 2번에서 준비된 서류를 관할 고용센터 팩스로 전송하거나 직접 방문해 제출합니다.

육아휴직급여 사후지급금 신청방법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세요

비자발적 사유로 퇴직했을 때의 사후지급금 수령

육아휴직급여는 원래 근로자의 통상임금의 80%로, 상한액은 월 150만원, 하한액은 월 70만원입니다. 육아휴직 중에 받는 이 급여 중 75%는 육아휴직 기간 동안 지급되고, 나머지 25%는 ‘사후지급금’이라는 형태로 직장에 복귀한 후 6개월이 지나야 일괄적으로 지급됩니다.

그렇다면, 출산휴가나 육아휴직을 이용하고 있는 도중에 회사가 문을 닫는 상황에서는 어떻게 될까요? 이 문제에 대한 답은, 아쉽게도 육아휴직급여나 출산휴가급여를 더 이상 받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유는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이 근로자와 회사 간의 고용관계가 지속되는 기간 동안만 지급되는 급여이기 때문입니다. 즉, 회사가 폐업하여 고용관계가 종료되면, 그 시점부터는 급여를 받을 수 없게 됩니다.

예를 들어, 9개월간의 육아휴직을 신청하고 3개월 동안 이를 이용하던 중 회사가 폐업하게 된다면, 그 시점부터의 육아휴직급여는 지급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규정은 출산휴가급여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그러나, 폐업일 이전에 받은 육아휴직급여의 25%에 해당하는 사후지급금은 다른 사항입니다. 실제로 6개월 동안 복직해 일을 계속하지 못했다 해도, 회사의 폐업과 동시에 이를 일시불로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둘 이상인 경우 첫 아이 육아휴직 후 바로 둘째 아이 육아휴직을 사용하시려는 분들이 사후지급금을 받기 위해 12개월이 필요하다고 오해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이 수에 상관 없이 복직 후 단지 6개월이 지나면 사후지급금을 모두 신청, 수령하실 수 있습니다.

육아휴직급여의 중요성

육아휴직급여는 근로자가 아이를 돌보는 시간을 확보하고, 출산 후에도 직장을 유지하면서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는 개인의 삶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출산과 육아를 통한 인구 구조의 안정화에 기여합니다.

또한, 육아휴직급여는 근로자의 권리이자 복지입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정보를 잘 알고, 필요한 경우 신청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사후지급금’이라는 혜택을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보를 널리 알리고 근로자들이 이를 체계적으로 신청하고 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최종 정리

  1. 육아휴직급여는 통상임금의 80%(월 150만원 상한, 70만원 하한)입니다.
  2. 육아휴직 중 받는 이 급여의 75%는 바로 지급되고, 나머지 25%는 복직 후 6개월이 지난 후 일괄적으로 ‘사후지급금’으로 지급됩니다.
  3. 사후지급금을 받기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동일한 회사에 복직해 6개월 이상 근무해야 합니다.
  4. 자발적으로 퇴사한 경우에는 사후지급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5. 회사가 폐업하거나 도산하는 등 비자발적으로 퇴사한 경우에는 사후지급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6. 사후지급금 신청은 고용보험 홈페이지나 앱에서 가능하며, 복직 후 6개월이 지난 후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7. 아이가 둘 이상인 경우에도, 복직 후 단지 6개월이 지나면 사후지급금을 신청하고 수령할 수 있습니다.

육아휴직급여는 고용보험에서 지급되는 혜택 중 하나로 육아휴직을 한 근로자라면 누구나 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육아휴직급여를 받기 위한 조건과 절차, 그리고 받을 수 없는 상황 등에 대해 잘 숙지해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경제적인 부담까지 덜 수 있으니 말입니다.

특히 오늘 이야기한 사후지급금의 경우에는 본인이 놓쳤다고 해서 회사가 대신 챙겨주지 않는 나의 자산입니다. 임신 계획이 있거나 임신 중인 분이라면 이 글을 계기로 미리 사후지급금에 대해 공부해두시는 것도 시간 절약,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한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

출산부, 모유수유부라면 신청할 수 있는 보건소 영양플러스 사업에 대해 알아보기

친환경 농산물을 연간 48만원 이내로 제공받을 수 있는 임산부 농산물꾸러미 제도 알아보기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